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온주 예산, 인프라 대폭 투자 할 것

   온타리오주 정부가 2025년도 예산안에서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더그 포드 주총리는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상황이 바뀌었다”며, 긴축보다 지출 확대를 선택하겠다고 예고했다.   포드 총리는 “예산을 짤 땐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 삭감을 하거나, 기반시설에 투자해 경제를 돌리는 것”이라며 “지금은 병원, 도로, 장기요양시설 등 인프라 건설을 멈추지 말아야 할 때”라고 밝혔다.   온주 정부는 지난해 가을 경제성명에서 2026~27 회계연도까지 재정 균형 달성을 목표로 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과 미국의 관세 부과로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정부는 최근 407 고속도로 일부 구간 통행료 폐지, 유류세 인하 조치의 상시화 등 일부 정책을 선공개했다. 또한, 가정의나 간호사가 부족한 지역에 최대 17개의 지역기반 1차 진료 교육 클리닉을 신설•확장하는 데 최대 3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밖에 제조업 투자세액공제 확대, 일부 기업 대상 6개월간 주 세금 납부 유예, 그리고 산재보험공단(WSIB)이 ‘안전 사업장’에 환급하는 20억 달러 규모의 세금 리베이트도 포함된다.   온타리오주 재정감시청(FAO)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관세는 온주 수출 수요를 낮춰 실질 GDP 성장률을 1.7%에서 0.6%로 끌어내릴 것”이라며 “2025년 온타리오에 소규모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로 인해 2025년 중 온주 내 일자리 6만8100개가 사라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예상되는 피해 규모는 미국의 추가 관세 대상 품목이나 캐나다의 보복 조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현재 미국은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에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향후 구리, 의약품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예산을 놓고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NDP 마릿 스타일스 대표는 “정부는 인프라뿐 아니라 공급망 재편과 관세 회피 전략도 제시해야 한다”고 밝히며 “양질의 보건의료, 교육, 대학 시스템 강화도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유당 보니 크롬비 대표는 “선거 당시 공약한 세금 감면이 포함되길 기대한다”며 “특히 외국인 유학생 의존도가 높은 대학교•컬리지 지원 예산과 주택 관련 정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녹색당 마이크 슈라이너 대표는 “현실적인 교통 해법이 중요하다”며 “수백억 달러를 터널 건설에 쓰기보다 트럭 통행료 지원 등 실효성 있는 대안을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드 정부는 현재 401 고속도로 하부 터널 건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에 착수한 상태이며, 총리는 “결과와 상관없이 반드시 추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인프라 대규모 인프라 인프라 건설 제조업 투자세액공제

2025-05-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